서평2017. 1. 22. 06:30
반응형
James Choung. True Story: A Christianity Worth Believing in
 
한국어로는 <냅킨 전도>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책는 저자가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역을 하면서 발생한 문제제기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답이다. 제임스 정(James Choung)의 문제 제기는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과연 복음이 모든 사람에게 좋은 소식인가? 예수님을 구주로 믿어 죽음 이후에 천국에 들어가는 복음은 신자와 불신자를 포함한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복된 소식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의 안나라는 등장인물로 대표되는 현대 젊은이들은 전통적인 복음 제시를 참된 의미의 ‘복된 소식’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죽음 이후 천국에 들어간다는 복음은 지나치게 개인적(personal)이며 동시에 근시안적(myopic)이다. 
 
제임스 정은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성경이 이야기하는 복음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제시하는 복음제시의 방향은 크게 3가지다. (1) 결정(decision)에서 변화(transformation)로, (2) 개인(individual)에서 공동체(community)로, (3) 죽음이후(afterlife)로부터 선교적 삶(mission life)으로. 그는 이와 같은 방향성 안에서 (1) 선을 위한 창조(design for good), (2) 타락한 세상(damaged by evil), (3) 선을 위한 회복 (restored for better), 그리고 (4) 치유를 위한 파송(sent together to heal)이라는 네 단계의 복음제시를 제안한다. 그리고 각 단계는 개인적(personal) 측면, 관계적(relational) 측면, 조직적(systemic) 측면에서 내용을 설명하도록 구성하였다. 한국어 번역은 이와 같은 복음제시가 노트에 간단한 그림을 그리며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냅킨 전도”라고 제목을 붙인 듯 하지만, 그것이 제임스 정이 제안하는 복음제시의 핵심은 아니다. 
 
제임스 정의 복음제시는 전통적인 복음전도방법(사영리, 다리예화, 전도폭발 등)의 개인적이고 사후 세계에 초점을 맞춘 전도에 대한 비판의식을 가지고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전도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해야 한다. 이 책의 표현대로 "성경에 대한 전체적 조망”(the entire scope of the Bible, p. 168), 곧 “세상을 바라보는 기독교 세계관”(the basics of a Christian worldview, p. 200)을 최대한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복음제시의 형태로 구성한 결과물이다. 그런 점에서 제임스 정이 제시하는 성경의 '진정한 이야기’(true story)를 전도 현장에서 활용한다면 복음 전도자 역시 복음에 대한 보다 넓은 관점을 소유하게 될 것이며, 전도 대상자는 복음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특별히, 목회자로서 이 책을 읽는 동안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던 등장인물들이 있다. 이 책은 갈렙(Caleb)이라는 한 대학생이 복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넓어지는 과정, 나아가 그러한 생각의 변화를 자신의 친구 안나(Anna)에게 전하는 과정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한다. 그런데 갈렙에게는 두 명의 중요한 멘토[스승]가 있다. 곧, 갈렙이 섬기는 예배팀의 책임자인 제프(Jeff Corbin) 목사와 갈렙이 다니는 학교에서 윤리학을 가르치는 살렌드라(Shalandra) 교수다. 제프는 존경받는 목회자이지만 여전히 개인적이고 타세중심적인 복음전도에 집중하는 전형으로 등장한다. 반면, 살렌드라는 갈렙에게 보다 넓은 복음의 의미를 전해준 사람으로 등장한다. 갈렙으로 대표되는 기독 청년에게 제프와 같은 목회자가 더 큰 영향력을 끼치느냐, 아니면 살렌드라와 같은 멘토가 더 큰 영향력을 끼치느냐에 따라 그의 복음 이해는 달라지는 것이다. 곧, 목회자의 복음 이해는 그가 양성하는 전도자의 복음제시 내용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제임스 정의 복음제시는 전도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는 지역교회의 모습을 돌아보게 만든다. 제임스 정은 전통적인 복음제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죽음이후(afterlife)에 대한 강조보다는 선교적 삶(mission life)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복음을 죽음 이후의 문제로만 국한시키는 경향을 복음에 대한 왜곡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왜곡으로 말미암아, 기독교는 무엇을 줄 것인가보다는 무엇을 받을 것인가에 크게 집중하게 되었다”(p. 197)고 진단한다. 만일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여, 전도 대상자에게 사후 세계에 얻게 되는 천국보다는 이 땅에서의 선교적 사명에 집중하여 복음을 전한다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과제가 있다. 곧, 전도를 받아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사람들이 들어오게될 교회 공동체를 받는 것에 익숙한 수동적인 공동체가 아니라 세상을 향한 선교적 사명에 민감한 능동적인 공동체로 변화시키는 일이다. 교회의 모습은 변하지 않은 채 복음 제시에만 사명, 선교, 제자도 등을 강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어쩌면 전통적인 복음제시가 그토록 선교적 삶보다는 죽음 이후의 천국에 집중하는 이유 가운데 받는 것에만 익숙한 교회 공동체의 모습이 자리잡고 있는지도 모른다. 

 

 

 

 

반응형
Posted by Rev. Hanji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