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성경공부

창세기 24장 10-27절 "일꾼의 가장 중요한 덕목"

Rev. Hanjin Lee 2022. 9. 7. 14:24

길을 떠난 아브라함의 종이 리브가를 만나는 장면이다. 아브라함의 종이 도착한 곳에 대해 본문은 "메소보다미아로 가서 나홀의 성에 이르러"라고 표현한다(10절). "나홀"은 인명으로 "나홀의 성"은 하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만일 아브라함이 종을 보낸 장소가 가나안의 헤브론이라면, 나귀를 끌고 도보로 이동하던 당시의 교통수단으로는 하란까지 최소한 한 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이다. 

아브라함의 종은 저녁에 그 성에 도착하였고 우물가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었다. 당시 장거리 여행객들이 어느 마을에 들어갔을 때 우물을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었다. 우물에서 마실 물을 얻기도 하고, 그곳에 모인 사람들에게 정보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홀 성의 우물가에서 일어난 사건을 묘사하는 본문은 기도로 시작하여 찬양으로 마친다. 

  • [기도] "원하건대 오늘 나에게 순조롭게 만나게 하사 내 주인 아브라함에게 은혜를 베푸시옵소서"(12-14절)
  • [찬양] "나의 주인 아브라함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나이다" (27절) 

아브라함의 종은 하나님께 기도하며 이삭의 아내감을 찾기 위한 하나의 기준을 세운다. 다음은 그의 기도 내용이다. 

성 중 사람의 딸들이 물 길으러 나오겠사오니 내가 우물 곁에 서 있다가
한 소녀에게 이르기를 청하건대 
너는 물동이를 기울여 나로 마시게 하라 하리니 
그의 대답이 마시라 내가 당신의 낙타에게도 마시게 하리라 하면 
그는 주께서 주의 종 이삭을 위하여 정하신 자라 
이로 말미암아 주께서 내 주인에게 은혜 베푸심을 내가 알겠나이다 (13-14절) 

고대 근동에서는 결혼하지 않은 소녀가 가족과 가축을 위해 물을 긷곤 하였다. 그러므로 우물가에 신부감이 될 만한 사람이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것은 당시의 풍속을 생각하면 자연스러운 판단이었다. 다만, 이 종은 우물가에 나타날 소녀의 성품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한 소녀에게 "나로 마시게 하라"고 요청하며 그의 행동을 살펴보겠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소녀의 행동이 자신의 요청사항을 넘어 "내가 당신의 낙타에게도" 마실 물을 주겠다고 반응하면, 이삭의 신붓감으로 부족하지 않다는 판단이다. 아브라함의 종이 끌고 온 나귀는 모두 열 필이다(10절). 오랜 여정으로 목이 마른 열 필의 나귀에게 모두 물을 먹인다는 것은 여간 고된 노동이 아니다. 그 모든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손님을 대접하는 소녀가 기준이었다. 

아브라함의 종은 한달 이상을 이동하였고, 하란에 도착하여 나름대로의 계획을 세워 이를 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렇게 리브가와 첫 번째 만남이 이루어졌고, 리브가는 아브라함의 종이 원했던 행동을 그대로 보여준다(15-20절). 그런데 그 결정적인 순간, 지금까지 책임을 다하기 위해 쉬지 않고 움직였던 이 종이 모든 것을 멈춘다. 

그 사람이 그를 묵묵히 주목하며 
여호와께서 과연 평탄한 길을 주신 여부를 알고자 하더니 (21절) 

이 장면에서 아브라함의 종은 모든 과정이 하나님의 손 안에 있음으로 깨닫게 되었고, 그의 기도는 찬양이 되었다. 

 

 

 

창세기 24장 21절 "묵묵히 주목하며"

아브라함 가정에는 식솔도 많았고, 아브라함이 부리는 종들도 매우 많았습니다. 그 가운데 아브라함은 자신의 마음을 가장 잘 이해할 뿐만 아니라 일솜씨도 똑 부러지는 종을 고르고 골랐습니

hanjin0207.tistory.com


창세기 24장을 읽다보면, 아브라함의 종은 일처리가 깔끔한 사람이었음을 알게 된다. 과연 아브라함이 그의 모든 재산을 이 종에게 맡길만하다. 그런데  이삭의 아내를 찾아오는 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브라함의 종이 아브라함의 마음을 시원하게 해 주었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의 일처리 솜씨가 아니었다. 아브라함의 신앙을 본받아, 하나님을 향해 기도하며 중요한 순간에 하나님의 일하심을 바라보았고 마침내 하나님을 찬양하며 그분의 역사에 동참한 대목이다. 

하나님의 일꾼으로 부름받은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실력이나 솜씨가 아니라,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민감성이다. 







반응형